본문 바로가기
체육/운동역학

[운동역학] 10m 플랫폼 다이빙 동작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by 헹 2021. 9. 27.
반응형

다이빙은 보드에 탄력을 이용하여 연기하는 스프링보드 다이빙과 보드가 고정되어 있는 10m 높이에서 연기하는 플랫폼 다이빙 두 종류로 구분되어 있다. 플랫폼 다이빙은 스프링 다이빙 보다 높이가 높지만 고정된 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의 능력으로 공중에서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고 짧은 순간에 연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순간 판단력과 순발력 및 균형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종목이다(강민경, 2009).

 

다이빙은 고난이도의 종목을 완벽하게 연기하고 수면과 수직상태를 이루면서 물의 저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자세로 입수하는가를 겨루는 경기로서 높은 도약과 공중동작, 입수의 각도 및 연기의 정확도와 난이도가 좋은 점수를 내기 위한 요소들이다(홍명희, 2007)

 

 

1. 이륙동작

다이빙 선수가 얻은 높이는 도약시의 수직속도에 의존하므로 다이버가 공중으로 충분히 도약하기 위해서는 선수 개인 특성에 따른 지면에서의 힘, 무릎굴곡을 적절히 발생시켜야 한다. 다이빙 동작에 따라 연구 결과의 차이가 있으나 하지분절의 수직속도를 크게 하고 투사각을 수직에 가깝게 해야 한다는 보고가 있다.

Hamil, Golden & Willians (1986)는 플랫폼 다이빙의 도약 시 운동 역학적 요인을 연구하여 take off시 지면에 최대한의 반작용 힘을 가하게 되지만 이때의 힘은 종목의 난이율과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것을 밝혔고 운동학적 요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도약 시 신체 기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각속도가 변화되었음을 보고 하였으며, Sanders와 Wilson(1988)는 다이버가 지면으로부터 이탈하여 공중으로 충분히 도약하기 위해서는 선수 개인 특성에 따른 지면에서의 힘, 무릎굴곡을 적절히 굴곡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발이 중심을 공중으로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하며 이것은 선수가 플랫폼으로부터 도약하여 공중동작, 입수동작, 입수 자세로 이어지는 연결동작이라고 볼 때 힘, 무릎굴곡이 이 같은 운동수행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구름판에서 발이 릴리즈되는 순간 전방으로 작용하는 각운동량이 생성된다.

 

높은 도약으로 높은위치에서 공중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높은 도약을 하기 위해서는 하지분절의 수직 속도를 크게 하고 투사각을 수직에 가깝게 해야 한다고 보고 하였다.

 

 

2. 공중동작

다이빙의 공중동작은 각운동량 보존의 법칙에 따라 체공 상태에서의 각운동량이 일정하다. 각속도와 관성모멘트는 서로 역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공중에서는 관성모멘트를 작게 하여 회전을 빠르게 하여야 한다. 

다이빙의 공중동작은 각운동량 보존의 법칙에 따라 체공 상태에서의 각운동량이 일정하다. 각속도와 관성모멘트는 서로 역상관관계가 있는데 다이빙 공중에서 회전동작 후 입수할 때는 수면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을 줄여야만 감점 요인이 적어지기 때문에 레이아웃 자세를 취하여 회전을 줄이면서 입수한다. 이것은 공중에서는 관성모멘트를 작게 하여 회전을 빠르게 하고, 반대로 입수 시에는 관성모멘트를 크게 하는 레이아웃 자세를 취하여 회전속도를 줄이고 이를 통해 순면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입수하는 기술이다.

 

 

3. 입수동작

반대로 입수 시에는 관성모멘트를 크게 하는 레이아웃 자세를 취하여 회전속도를 줄이고 이를 통해 순면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입수하여야 한다.

 

<플랫폼 다이빙 Reverse dive(B)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 A Kinematic Analysis of Platform Diving Revers Dive(B) Movement>, 허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