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육/체육교육학

[건강교육]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의 효과/필요성

by 헹 2021. 8. 4.
반응형

준비운동


1. 근육과 인대 등 상해의 위험성을 최소화한다.
인체의 각 관절부위를 잇는 인대나 근육과 건 등은 온도에 따라 그 탄성이 변화한다. 이러한 근육이나 결체조직은 탄성이 최고가 되는 적정온도가 있으며, 연구에 의하면 그 온도는 39도씨라고 한다.

2. 운동피로의 조기발현을 예방한다.
운동초기에 인체는 필연적으로 소비에너지의 많은 부분을 무산소적인 ATP생성체계에 의존하게 된다. 그 이유는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증대에 대응하여 인체순환계통과 호흡계통이 적응하기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심장을 활동수준, 근육으로의 혈류분배, 호흡근의 활동수준이 증가하여 산소수송체계가 정비되기 전에는 무산소적인 에너지 공급에 대한 의존율이 높게 되고, 그 결과 탄수화물의 무산소적인 대사산물인 젖산이 조기에 축적될 수 있다. 이는 운동 수행 시 초기의 피로출현을 유발하여 수행력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준비운동은 운동초기에 그 운동을 보다 유산소적으로 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3. 신경계의 통합적인 조절기능을 높여준다.
준비운동은 인체의 조정 능력을 높여준다고 보고되어 왔다. 이는 신경계의 통합적인 조절에 적응의 절차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비록 완벽한 신경지배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완전한 폼이 형성되어도 수행에 앞서 행하는 일회적인 연습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4. 심장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준비운동 없이 갑작스런 고강도 운동을 수행한다면, 심전도상의 이상소견이나 좌심실 기능 이상을 나타내는 증후를 보이기 쉽다. 이는 갑작스런 운동으로 인한 심장근의 활동수준 증가에 비해 심근으로의 혈류공급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초래되는 현상이다. 준비운동은 운동 초기에 나타나는 이러한 심장 손상의 위험을 낮추어준다.

정리운동


1. 젖산 등 피로 물질의 제거
동적인 휴식을 할 때가 정적 휴식시보다 피로물질인 젖산의 제거율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것은 활동근으로의 혈류량을 어느 정도 유지함으로써 젖산을 연료로 하는 유산소적 대사에 의해 완전한 산화를 돕고, 호흡활동을 통해 인체산성화에 대한 호흡성 완충작용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2. 뇌빈혈의 예방
갑작스런 활동정지는 근펌프 작용 소실로 인해 정맥환류혈류량이 감소하고, 결국은 심박출량이 급격히 감소되어 뇌빈혈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정리운동은 근펌프 작용을 지속시켜 하체의 정맥 저류현상 또는 급격한 심박출량 감소현상을 예방하는 데 있다.

3. 근통증이나 근경직 예방
운동 시 젖산 등의 대사물질과 함께 브라디키닌(bradykinin)등의 축적은 근통증이나 근경직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적휴식과 비교하여 동적휴식인 정리운동은 근혈류 속도가 급격히 감소되지 않고 서서히 감소하도록 하여 이들 물질의 신속한 제거에 도움을 준다.



준비 운동은 워밍업(Warming-up)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근육과 관절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준비 운동은 갑작스러운 혈압 상승을 막고, 심장의 혈액 순환을 증가시켜 원활한 운동을 돕는다. 단, 스트레칭은 가벼운 유산소 운동 후에 시행해야 무리한 동작에 따른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