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육/체육교육학

[체육교육학] 협동적 게임

by 헹 2021. 10. 15.
반응형

 

 

 

협동적 게임

 

협동적 게임은 모든 사람이 협동하고 모든 사람들이 이기며 지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방식이며, 협력, 수용, 함께 하기, 즐거움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 학교 체육에서 가르치는 경쟁적인 게임들은 소수의 승자에게만 개인적 우월감과 즐거움을 주고, 대부분의 학생들에게는 신체활동에 대한 두려움이나 패배감을 심어준다. 하지만 협동적 게임은 협력을 통해 함께 승리하는 즐거움을 느끼게 하여 동료와 함께 스스로에 대한 우월감과 가치를 기를 수 있다.

 

그러나 경쟁적 요소가 빠진 수업에 대하여 학생들은 흥미가 저하되고 상실감을 느낀다. 특히 운동 기능이 높은 학생들은 자신들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원한다. 협동은 신체활동 가치의 한 요소로 충분한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지나친 경쟁에 매몰되어있는 체육 수업의 대안으로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경쟁 또한 체육활동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협동과 경쟁을 상호배타적 관계로 인식하기보다는 상호보완적 관계로 인식하고 체육수업을 균형있게 이끌어나가야할 것이다.

 


 

협동적 게임의 최대 장점은 게임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협력하고 승리를 만끽하며 즐거움을 가지게 하고 학생들은 상대가 아닌 동료와 함께 경기를 하게 됨으로써 두려움이나 패배감을 줄여 자신이 능력 있고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여기도록 함으로써 스스로에 대해 우월감과 가치를 기르고 확신하도록 만들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 협동적 게임은 협력, 도전, 동기, 자기 확신, 성공 그리고 순수한 즐거움 등에 대한 멋진 기회를 체육 수업에 제공해 준다는 것이다. 협동적 게임은 협력과 수용, 함께 하기 그리고 즐거움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협력, 수용, 함께 하기 그리고 즐거움 등의 네 가지 핵심적 요소들이 포함될 때, 게임에서 더 이상 자존심이나 감정에 상처를 입고 두려움을 느끼지 않게 되어,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현재에 최선을 다하며 즐거운 삶의 경험을 하게 된다. *<협동적 게임의 교육적 의미와 적용 방안 연구>, 김영식, 박대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