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육/체육교육학

[체육교과교육] 스포츠교육모형

by 헹 2022. 9. 9.
반응형





스포츠교육모형의 추구하는 인간상
유능하고 박식하며 열정적인 스포츠인으로 성장하기




기존의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모두 ‘선수’ 역할로 제한되어있었다면 스포츠교육모형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선수’이자 동시에 하나의 ‘비선수’ 역할을 맡아 직접 스포츠 리그를 운영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스포츠교육은 전통적인 체육수업 방식과 비교할 때 6가지의 특징적 차이가 있다. 즉, 스포츠교육은 각 스포츠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시즌, 팀 소속, 공식 경기, 결승전 행사, 기록 보존, 축제와 같은 6가지 특성을 갖고 있다.

- 시즌 : 스포츠교육모형에서는 전통적인 내용 단원이 아닌 최소 20시간 이상의 시즌으로 운영된다. 시즌이란 연습기간, 시즌 전 기간, 정규 시즌 기간, 최종 경기를 포함한 후기 시즌 기간을 포함하는 장시간의 기간을 한다.
- 팀 소속 : 모든 학생들은 시즌 동안 한 팀의 일원으로 소속되어 팀의 공동목표를 위해 일하고, 팀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며, 성공과 실패를 함께 경험하는 가운데 정의적, 사회적 발달을 도모한다.
- 공식 경기 : 학생들은 공식적인 경기 시즌에 대한 장단기 의사결정에 참여하며 경기 규칙을 수정할 수도 있다.
- 결승전 행사 : 시즌은 다양한 형태의 결승전 행사로 끝이 나며 이러한 행사는 축제와 같은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단지 관중으로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맡은 역할 속에서 능력을 발휘하여 참여해야 한다.
- 기록 보존 : 시즌을 운영하는 동안 수많은 경기 기록이 양산되는데 이러한 기록을 통하여 전략 지도, 흥미 유발, 동기 부여, 학습 평가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축제 : 정규 시즌은 축제의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진다. 각 팀마다 고유한 팀 명칭을 만들고 경기장을 각양각색의 깃발과 현수막으로 장식하여 분위기를 살린다.

이와 같은 6가지 특징은 방과후 스포츠나 조직적인 스포츠에서 자주 볼 수 있고 쉽게 경험할 수 있는 특징이지만 얼마 전까지는 학교 체육수업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수업 전략이었다. 스포츠교육모형은 “학교체육은 학생들이 스포츠를 진정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가르치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발전시켜 온 모형이다. 스포츠교육은 학생들이 경기 기능이 능숙한 스포츠인, 스포츠 전반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박식한 스포츠인, 스포츠를 좋아하고 사랑하는 열정적인 스포츠인으로 성장하길 기대하고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스포츠교육에서 교사, 학생, 지역사회 스포츠 전문가의 역할은 전통적인 체육수업에서의 역할과 전혀 다르다.

참고문헌 <체육교수이론>, 손천택, 박정준, 대한미디어, p18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