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교체육의 실천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 접근으로써 학교폭력예방은 ‘Two-track’의 접근이 요구된다. 1차적으로 학교폭력예방법은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을 신속하게 처리한다. 학교폭력 예방과 연계한 2차적 접근으로써 학교체육진흥법은 법의 취지가 학교현장에 실천되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한다면 학교폭력의 실제적인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체육교사의 책무성이다. 체육교사는 학교체육이 학교폭력을 예방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전문성에 기초한 학교체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천할 책무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즐겁고 재미난 학교체육 프로그램의 실천이다. ‘창의적 인성 함양’을 목표로 ‘의미 있는 체육수업’을 편집하고 실시함으로써 수업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실제적으로 학교폭력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체육시설의 확충이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교체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실천하고, 학습권과 건강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교체육시설의 선진화도 선결되어야할 과제이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교체육의 역할과 실천과제>, 김영갑, 2018
첫째, 학습자들에게 운동 기능 중심의 심동적 영역과 관련된 학습보다는 정의적 영역의 학습 활동들이 탐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둘째, 다양한 신체활동 속에서 학생들이 정서적인 태도를 고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학습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체육의 경험과 해당 신체활동 속에서 정서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팀 활동 스포츠가 활용될 필요가 있다(고문수, 2015; 김재운, 전세명, 2015). 셋째, 학생들의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 정서로 환원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야 한다. 학생들이 혼자보다는 함께하는 문화, 명확한 규칙 인지, 개인의 책임감 부여, 정정당당한 플레이에 대한 이해, 상대방의 잘못에 대해 인정하고 격려하기 그리고 배려 등의 정서적인 태도를 고양할 수 있는 활동들이 수업 내용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 체육에서 제시되는 체육 프로그램은 체육수업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방과 후 체육활동 및 학교스포츠클럽과도 연계되어야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이옥선, 2015). 넷째, 학생들이 신체활동에서 정서적인 태도의 변화를 위해서는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즉 학습자의 정서를 고양할 수 있는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학교폭력 예방과 용서 및 태도 변화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고문수, 2017
반응형
'체육 > 체육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교과교육] 스포츠교육모형 (0) | 2022.09.09 |
---|---|
[체육교육학] 체육수업 개선을 위한 현장개선연구 (0) | 2022.09.07 |
[체육교육학] 학교현장에서의 여학생 신체활동 (0) | 2022.09.05 |
[체육교육학] 체육교과에서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 / 포괄형 스타일 / 경사지게 줄잡기 (0) | 2022.08.30 |
[체육교과교육] 학습과제의 설계(학습과제의 단계화) (1) | 202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