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교현장에서의 여학생 신체활동은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은 매일 적어도 최소 60분 이상의 중강도의 신체활동에 참여해야 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세계적으로 80%이상의 청소년들이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체력수준도 점점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들에게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초, 중, 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신체활동량은 크게 줄어들고 있다. 특히, 여학생의 신체활동량은 남학생에 비해 학년이 증가하면서 빠르게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신체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10대 여학생의 비율은 약 66.8%인 것으로 나타나 미국, 중국, 일본 등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 청소년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환경은 신체활동 증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여학생들은 체육시간이 유일한 신체활동 시간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체육수업 시간에도 여학생들의 활동량은 남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물론 체육시간 활동내용과 방법에 따라 신체활동량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대다수 여학생은 체육시간이 유일한 신체활동 장소이기도 하다. *<청소년기 여학생의 학교 내 신체활동 평가기준치 설정>, 김혜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018
반응형
'체육 > 체육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교육학] 체육수업 개선을 위한 현장개선연구 (0) | 2022.09.07 |
---|---|
[체육교육학]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체육교육 (0) | 2022.09.06 |
[체육교육학] 체육교과에서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 / 포괄형 스타일 / 경사지게 줄잡기 (0) | 2022.08.30 |
[체육교과교육] 학습과제의 설계(학습과제의 단계화) (1) | 2022.08.20 |
[체육교육학] 협동적 게임 (0) | 2021.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