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pCIfq/btrqHEFqJXD/FCBFl9Qgkz75ZHtS3awLUK/img.jpg)
<나의 아름다운 이웃> 박완서
우리 시대의 영원한 이웃, 박완서를 다시 만나는 시간! 박완서 소설가는 한국어로 소설을 읽는 사람이 남아 있는 한, 언제까지고 읽힐 것이다. _정세랑 『나의 아름다운 이웃』은 고(故) 박완서 작가가 처음으로 펴낸 짧은 소설집이자, 1970년대 사회의 단면을 예리하게 담아내고 평범한 삶 속에 숨이 있는 기막힌 인생의 낌새를 포착한 작품이다. 우리에게 인생의 가치는 어디에 있는 것인지, 사랑과 결혼의 잣대란 도대체 무엇이며, 진실이란 우리에게 얼마만 한 기쁨이고 슬픔인지를 작가 특유의 신랄하고도 친근한 문체로 보여준다. 박완서 작가의 장녀이자 수필가이기도 한 호원숙은 이번 책의 「개정판을 펴내며」에서 “재미 속에 쿵 하고 가슴을 흔들어대고 부끄러움에 얼굴을 붉히게 합니다. ……낭만적 사랑의 꿈을 버리지 않으셨던, 그러나 ‘너의 삶의 주인은 너’라고 끊임없이 일깨워주는 어머니”라고 회고한다. 짧은 분량의 단숨에 읽히는 이야기지만 여운의 뒷맛은 더 길고 강하다. 자기기만과 허위의식에 찬 속물근성이 까발려진 듯해 뜨끔하고, 목표의식 없이 내달리는 헛헛한 내면이 들킨 것 같아 부끄럽다.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담소를 나누던 이웃 간의 정을 찾아볼 수 없게 된 작금의 사태가 떠올라 씁쓸하고, 그럼에도 놓을 수 없는 사랑이라는 감정에는 가슴이 뜨거워진다. 「그때 그 사람」, 「마른 꽃잎의 추억」, 「아직 끝나지 않은 음모」, 「그림의 가위」, 「어떤 유린」 등 48편의 이야기가 실린 이 짧은 소설집은 평생에 걸쳐 선생의 화두였던 ‘사랑과 자유’에 대한 희구를 때론 낭만적으로, 자주 희망적으로 펼쳐 보인다. 사랑과 자유를 꿈꾸는 한 나 자신을 포함한 인간은, 즉 우리의 이웃들은 진정 ‘아름다운’ 존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나의 아름다운 이웃>은 박완서 작가가 1970년대 여러 기업 사보나 신문에 연재했던 단편 소설 엮은 책이다(찾아보니 책에 실린 단편이 마흔 여덟개나 된다고 한다). 지금은 50년이나 지나버린 1970년대의 생활상과 가치관이 너무 과거의 이야기인 것 같다가도 여전히 우리는 비슷한 고민을 가진 채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단편 <완성된 그림>은 열심히 돈을 모아 땅을 사려했던 부부의 실패담이다. 남편은 열심히 일하고 아내는 알뜰히 살림하며 돈을 모은다. 땅 100평을 사는 것이 그들의 목표다. 하지만 모은 돈으로 땅을 사기에는 부족해 그냥 돌아올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다시 열심히 돈을 모아 갔더니 또 땅값이 올라 땅을 살 수 없었다. 그들이 아무리 노력해도 부동산에서 환영하는 것은 부부가 아닌 모피코트를 입은 귀부인들이었던 것이다. 이슬픈 과정을 몇 번 더 반복한 후 지쳐버린 부부는 결국 땅 사는 것을 포기하고 작은 아파트를 구한다. 남편은 옹색한 아파트지만 오랜 친구의 그림 하나를 걸어놓으면 그나마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 친구는 항상 자신의 작품이 미완성이라고 이야기하며 내보이기를 부끄러워했던 친구였다. 그동안 돈 모으고 바삐 사느라 연락이 끊겼지만 우연히 신문에서 친구의 개인전이 열린다는 소식을 보고 ‘드디어 그림을 완성했나보군!’ 생각하며 기쁜 마음으로 찾아간다. 그런데 그곳에서 마주한 건 귀부인들에게 아첨하는 마치 부동산 소개업자 같은 친구의 모습이었다. 늘 미완성이던 친구의 그림이 금빛 은빛 액자에 끼워진 ‘완성된 그림’이 되었지만 주인공은 친구의 미완성된 그림과 그 때의 친구가 그리웠다. 더이상 그림을 사고 싶지 않아진 주인공은 그냥 집으로 돌아간다.
읽으면서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다. 먼저 주인공이 맨 처음 부동산을 찾아갔을 때 50평은 살 수 있었는데 왜 사지 않았을까, 반이라도 사놨으면 가격이 많이 올랐을 텐데.. 이런 현실적인 생각을 했다. 예나 지금이나 인플레이션에 대책없이 당하지 않기 위해선 화폐보다는 실물 자산을 준비해야 하는 군, 나는 과연 집을 살 수 있을까, 이러나 저러나 빨리 사는 게 상책이겠지.. 소설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하다니 좀 웃겼다. 그만큼 이 소설이 현실적이고 공감되는 이야기라 그런 것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Z6NmN/btrqNeLu0l5/cYLZ5wOCaJFWWpxDMIkPCK/img.jpg)
이 책에 아파트와 관련된 내용이 정말로 많이 나온다. 아마 1970년대는 주거형태가 주택에서 아파트로 많이 바뀌는 시기였던 것 같다. 이 소설 속에서 아파트는 부의 상징이자 사람들의 선망의 대상이지만, 막상 이사하고 난 후에는 이웃의 무관심과 쌀쌀맞음에 상처 받는 곳으로 그려진다. 작가가 걱정했던 문제는 현실이 된 듯하다. 고립사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지도 꽤 지났고 이제 라디오에서는 이웃과 인사하며 지내자는 캠패인 송이 나온다. 하지만 이제는 서로의 무관심에 더이상 상처받지 않고 오히려 편안함을 느끼는 것 같다. 특히 아이 없는 (아이가 있으면 아파트 내에서도 연결이 많이 생기는 것 같다) 젊은 사람들에게는 이웃의 관심이 간섭이나 불편함으로 다가오지 않나 싶다. 따뜻한 세상.. 좋지.. 좋은데 막상 나라면 이웃하고 친하게 지내고 싶다기보다는 서로 민폐 끼치지 않고 적당히 거리 유지하면서 지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https://blog.kakaocdn.net/dn/x8ODP/btrqLVmxAY1/KSzeK9QmkxIbA80XYMa08K/img.jpg)
두 사람은 자주 보고 싶고, 그래서 자주 만나고, 만나면 하찮은 일도 즐겁고 하찮은 음식도 맛있어 시간 가는 줄 모르는 사이였다. 사람들은 그들을 연인이라고 불렀다. p305
담백하고 꾸밈 없는 문장은 자꾸 곱씹어 읽게 만든다.
![](https://blog.kakaocdn.net/dn/c595Ua/btrqMcO32wb/wFxNqdbnyKtx3yYtdqTMjK/img.jpg)
가족과 식구에 대해 생각해본다. 식구라는 말이 가족이 쓰일 법한 문장에서 쓰이는 걸로 보아선 밥을 같이 먹는다는 게 얼마나 중요한 일인가. 밥을 같이 먹으면 가족이라는 거 아니겠나. 그리고 가족이라면, 식구라면 밥을 같이 먹어야겠다.
![](https://blog.kakaocdn.net/dn/befcM8/btrqLU8U7pk/AMwsKkV9TnKgKfY9jws4W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FJDKS/btrqLVmxBm6/lGv7k6avkg0V4HGBE17Ys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aIOV/btrqLxlUKgP/1xkZBD0ziKyekPqLHMhj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l2Pt3/btrqLUVrwxf/ftG8elITvGfolBr3RAmC8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sOQBr/btrqNfjZtwg/4xHFoVLrc9FrL8ppIFfuTK/img.jpg)
제일 좋았던 단편 <노파>. 읽는 내내 머릿 속에 영화관이라도 있는 듯 영상 지원이 됐다. 추운 겨울 날, 좁은 길목에서 무를 팔고 있는 노파. 본인은 얇은 옷을 입고서도 무가 얼을라 담요, 스웨터, 넝마로 겹겹이 싸놨기 때문에 무를 한 번 꺼낼라치면 노파의 굼뜬 손으로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다. 노파는 그렇게 어렵게 꺼낸 무를 꼭 잘라 바람이 들지 않았다는 걸 확인시켜주고는 했다. 하지만 주인공은 그런 노파가 안쓰럽다는 생각에 한사코 말리고서 부르는 대로 값을 줬다. 주인공이 무를 확인하지 않는다는 걸 알고 부터 노파는 슬쩍 슬쩍 썩은 무를 섞어주거나 남들보다 비싼 값을 받았다. 그러면서도 주인공은 노파에게 휘둘리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이유가 참 재미있다. 노파는 떳떳하게 장사를 하는 것뿐인데 주인공은 노파에게 자선을 베풀고 있다는 우월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노파는 주인공이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보복’한다. 분명 경험해본 적 없은 것 같은데 경험해본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소설이었다. 상대가 원치 않는 동정과 연민의 감정, 자선을 베풀고 있다는 우월감은 부끄러운 감정이라는 걸 되짚어준다.
다 읽고 나니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고, 작가들이 존경하는 작가로 꼽히는 지 알 것 같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추천받아서 빌려놨는데 기대된다!
'책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6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박완서 (0) | 2022.01.27 |
---|---|
2022-4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야마구치 슈 (0) | 2022.01.23 |
2022-2 <아비투스 :인간의 품격을 결정하는 7가지 자본> 도리스 메르틴 (0) | 2022.01.09 |
2022-1 <인간실격>, <직소> 다자이 오사무 (0) | 2022.01.07 |
2021-33 <죽은 자의 집 청소> 김완 (0) | 2022.01.03 |